A Study on the Effect of Male Artists’ Feminine Look Preference on Gender Equality

Jeong-Ah Nam
{"title":"A Study on the Effect of Male Artists’ Feminine Look Preference on Gender Equality","authors":"Jeong-Ah Nam","doi":"10.18215/kwlr.2021.63..87","DOIUrl":null,"url":null,"abstract":"대중 예술인이 미디어를 통해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영향력과 그들의 특정한 복식에 대한 기호성 표현이 젠더(gender) 평등실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해, 특히 남성 예술인의 여성 복식(服飾) 선호성과 성차별적 인식구조 내지 편견 개선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중 예술인의 특정 복식에 대한 기호성이 성적 정체성과 연결되기도 하지만, 헌법 제22조 제1항의 예술의 자유,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 근거한 일반적 행동자유권, 자기결정권 등의 기본권 실현의 관점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중 예술인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에 전문적으로 종사하는 사람. 영화배우, 가수, 탤런트 등을 말하며 여기에는 유튜브, SNS상에서도 상당한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 소위 인플루언서도 포함된다. 또한, 여성 복식 착용의 본래적 의미가 있지만, 이 글에서는 주로 남성 대중 예술인이 여성복과 여성 장신구 및 색조 화장을 선호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남성 예술인의 여성 복식 착용은 우리 사회의 고정관념을 타파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지금껏 남자와 여자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기준 혹은 고정관념에 따르면 여성 복식 착용 남성 예술인은 예술인의 세계에서든 일반인 차원에서든 배격되곤 하였다. 이들에게는 소위 괴짜(geek), 별난 놈(freak), 심지어는 변태(pervert)라는 표현까지 따라다닌다. 하지만 대중 예술인이 일반인의 고정관념을 부수고 누구라도 성별에 구애됨이 없이 복식 혹은 패션을 선택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젠더 평등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관점에서 이 글은 먼저 젠더 개념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들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과 젠더 정체성을 논의하면서, 대중 예술인의 여성 복식 착용과 젠더 평등 영향성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남성 예술인에게 있어서 여성 복식 착용의 자발적 수용은 기존의 ‘남성적’ 혹은 ‘여성적’이라는 사회적 구분의 무의미성의 투영이며, 기성질서의 사회적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예술적 메시지이므로, 이를 보부아르와 버틀러의 젠더 관점으로 승화시킨다면 남성 대중 예술인의 여성 복식 착용이 젠더평등에 기여하는 바를 찾을 수 있다. 젠더 평등의 실현은 우리 사회에 내재해 온 성에 대한 편견을 타파하고 극복하는 노력을 통해 실현해야하는 당위의 과제이며 헌법적 명령이다.","PeriodicalId":253407,"journal":{"name":"KANGWON LAW REVIEW","volume":"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1-05-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ANGWON LAW REVIEW","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15/kwlr.2021.63..8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대중 예술인이 미디어를 통해 미칠 수 있는 사회적 영향력과 그들의 특정한 복식에 대한 기호성 표현이 젠더(gender) 평등실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밝히기 위해, 특히 남성 예술인의 여성 복식(服飾) 선호성과 성차별적 인식구조 내지 편견 개선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 필요하다. 더불어 대중 예술인의 특정 복식에 대한 기호성이 성적 정체성과 연결되기도 하지만, 헌법 제22조 제1항의 예술의 자유, 헌법 제10조의 행복추구권에 근거한 일반적 행동자유권, 자기결정권 등의 기본권 실현의 관점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대중 예술인은 대중을 대상으로 하는 예술에 전문적으로 종사하는 사람. 영화배우, 가수, 탤런트 등을 말하며 여기에는 유튜브, SNS상에서도 상당한 사회적 영향력을 가진 사람들, 소위 인플루언서도 포함된다. 또한, 여성 복식 착용의 본래적 의미가 있지만, 이 글에서는 주로 남성 대중 예술인이 여성복과 여성 장신구 및 색조 화장을 선호하는 경우를 의미하는 것으로 한정한다. 남성 예술인의 여성 복식 착용은 우리 사회의 고정관념을 타파하는데 상당한 영향을 끼칠 수 있을 것이다. 사실 지금껏 남자와 여자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기준 혹은 고정관념에 따르면 여성 복식 착용 남성 예술인은 예술인의 세계에서든 일반인 차원에서든 배격되곤 하였다. 이들에게는 소위 괴짜(geek), 별난 놈(freak), 심지어는 변태(pervert)라는 표현까지 따라다닌다. 하지만 대중 예술인이 일반인의 고정관념을 부수고 누구라도 성별에 구애됨이 없이 복식 혹은 패션을 선택할 수 있다면 그것은 젠더 평등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관점에서 이 글은 먼저 젠더 개념에 대한 대표적인 이론들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패션과 젠더 정체성을 논의하면서, 대중 예술인의 여성 복식 착용과 젠더 평등 영향성의 관계에 대해 검토한다. 남성 예술인에게 있어서 여성 복식 착용의 자발적 수용은 기존의 ‘남성적’ 혹은 ‘여성적’이라는 사회적 구분의 무의미성의 투영이며, 기성질서의 사회적 관습에 의문을 제기하는 예술적 메시지이므로, 이를 보부아르와 버틀러의 젠더 관점으로 승화시킨다면 남성 대중 예술인의 여성 복식 착용이 젠더평등에 기여하는 바를 찾을 수 있다. 젠더 평등의 실현은 우리 사회에 내재해 온 성에 대한 편견을 타파하고 극복하는 노력을 통해 실현해야하는 당위의 과제이며 헌법적 명령이다.
男性艺术家女性化外貌偏好对性别平等的影响研究
大众艺人通过媒体疯狂的社会影响力和对他们的特定的服饰符号性表现性别(gender)平等实现为了查明是否有哪些影响,特别是男性艺人女性服饰(服飾)偏爱的性和性别歧视인식구조看内地偏见改善关系是必要的。同时,大众艺术家对特定服饰的嗜好性虽然与性认同感联系在一起,但也有必要观察实现宪法第22条第1项艺术自由、根据宪法第10条幸福追求权的一般行动自由权、自我决定权等基本权利的观点。大众艺术家是专门从事面向大众的艺术的人。指的是电影演员、歌手、演员等,包括在youtube、SNS上具有相当大的社会影响力的人,即所谓的influence。另外,虽然女性服饰有本来的意义,但是这篇文章主要限定在男性大众艺术家喜欢女性服装和女性装饰品以及彩妆的情况。男性艺术家穿女性服饰会对打破我们社会的固定观念产生相当大的影响。事实上,到目前为止,根据区分男女的一般标准或固定观念,穿女性服饰的男性艺术家无论是在艺术家的世界,还是在普通人的层面上,都被排斥。他们甚至使用“怪人(geek)”、“怪人(freak)”、“变态(pervert)”等词语。但我认为,如果大众艺术家打破普通人的固定观念,任何人都可以不受性别限制地选择服饰或服装,那就是能够对性别平等做出贡献的方法。”从这一点看,这篇文章首先考察了对性别概念的代表性理论,并以此为基础讨论时装和性别身份,对大众艺术家的女性服饰穿着和性别平等影响的关系进行了研究。男性艺人来说,女性服饰穿戴的自发性接受现有的“男性”或“女性”的社会区分毫无意义的投影,质疑的现象的社会习惯的艺术信息,以此为보부아르和巴特勒的建德观点升华,那么男性群众艺术人的女性服饰穿戴建德对平等的贡献能找到。实现性别平等是通过打破并克服我国社会内在的对性的偏见而实现的义务课题和宪法命令。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