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yun-ju Park, Soo-yong Byun, Jaeho Sim, Y. Baek, Jin-Su Jeong
{"title":"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TEAM Education","authors":"Hyun-ju Park, Soo-yong Byun, Jaeho Sim, Y. Baek, Jin-Su Jeong","doi":"10.14697/JKASE.2016.36.4.0669","DOIUrl":null,"url":null,"abstract":"* 교신저자: 심재호 (sim307@pusan.ac.kr) ** 이 논문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2015년 STEAM 교육의 실태조사 및 효과성 심층 분석 연구’ 최종보고서의 일부를 발췌하여 요약하고 재구성한 것임 http://dx.doi.org/10.14697/jkase.2016.36.4.066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 Park, Byun, Sim, Baek & Jeong 670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STEAM 교사연구회 및 리더스쿨로 지정된 학교의 대표 교사들을 대상으로만 수행된 경우(Baek et al., 2012b)이 다. 또는 수학 교사(Han & Lee, 2012)나 특정 지역의 교사나 학생을 대상(Kang, Lee, & Kang, 2013; Lee, 2014; Lim, Kim, & Lee, 2014; Son et al., 2012)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육 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의 경우는 영재교육과 관련된 STEAM 교 육 연구(Lee et al., 2012)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경우는 STEAM 교육의 평가와 미술 또는 예술 분야의 연구(Kim, 2012)가 소수로 수행되었다. 또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지원하는 STEAM 교육 관련 연구의 경우, STEAM 교육의 인식이나 실태조사를 수행하 기 보다는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활용, 적용의 효과 및 STEAM 교사연구회의 지원 사업 등과 연관되어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 므로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에서 어떤 이유로 STEAM 교육을 실행 또는 실행하지 않고 있는지에 대한 운영 실태를 총체적으로 이 해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전국 단위로 STEAM 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로 구분하여 STEAM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문은 찾아볼 수 없었다. 교육부가 2011년 STEAM 교육을 시작한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 서, 전국에 있는 초⋅중⋅고등학교 중 얼마나 많은 학교에서 STEAM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지, 어떤 이유로 실행하고 있으며 또는 어떤 이유에서 실행하지 않고 있는지 등의 STEAM 운영 실태를 알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 학교의 STEAM 교육의 운영 실태 조사는 STEAM 교육의 정착과 장기적인 지속에 대한 이해와 점검 차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초⋅중⋅고등학교 모든 학교급을 대상 으로 한 전국 단위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STEAM 교육 실행 여부와 그 이유, 실행 빈도와 교과 시간, 예산, 만족도 등 STEAM 교육 운영 현황 전반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STEAM 교육의 실행을 진단하고 향후의 STEAM 교육의 개선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PeriodicalId":107400,"journ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volume":"1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8-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6","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4697/JKASE.2016.36.4.066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6
Abstract
* 교신저자: 심재호 (sim307@pusan.ac.kr) ** 이 논문은 한국과학창의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2015년 STEAM 교육의 실태조사 및 효과성 심층 분석 연구’ 최종보고서의 일부를 발췌하여 요약하고 재구성한 것임 http://dx.doi.org/10.14697/jkase.2016.36.4.0669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Journal homepage: www.koreascience.org Park, Byun, Sim, Baek & Jeong 670 하기 위한 기초 자료로 STEAM 교사연구회 및 리더스쿨로 지정된 학교의 대표 교사들을 대상으로만 수행된 경우(Baek et al., 2012b)이 다. 또는 수학 교사(Han & Lee, 2012)나 특정 지역의 교사나 학생을 대상(Kang, Lee, & Kang, 2013; Lee, 2014; Lim, Kim, & Lee, 2014; Son et al., 2012)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교육 연구기관인 한국교육개발원의 경우는 영재교육과 관련된 STEAM 교 육 연구(Lee et al., 2012)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경우는 STEAM 교육의 평가와 미술 또는 예술 분야의 연구(Kim, 2012)가 소수로 수행되었다. 또한 한국과학창의재단에서 지원하는 STEAM 교육 관련 연구의 경우, STEAM 교육의 인식이나 실태조사를 수행하 기 보다는 STEAM 프로그램의 개발, 활용, 적용의 효과 및 STEAM 교사연구회의 지원 사업 등과 연관되어 제한적으로 진행되었다. 그러 므로 우리나라 초⋅중⋅고등학교에서 어떤 이유로 STEAM 교육을 실행 또는 실행하지 않고 있는지에 대한 운영 실태를 총체적으로 이 해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또한 전국 단위로 STEAM 교육을 실행한 경험이 있는 학교와 그렇지 않은 학교로 구분하여 STEAM 교육의 실태를 조사한 논문은 찾아볼 수 없었다. 교육부가 2011년 STEAM 교육을 시작한지 5년이 지난 현 시점에 서, 전국에 있는 초⋅중⋅고등학교 중 얼마나 많은 학교에서 STEAM 교육을 실행하고 있는지, 어떤 이유로 실행하고 있으며 또는 어떤 이유에서 실행하지 않고 있는지 등의 STEAM 운영 실태를 알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우리나라 학교의 STEAM 교육의 운영 실태 조사는 STEAM 교육의 정착과 장기적인 지속에 대한 이해와 점검 차원에서 의의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첫째, 초⋅중⋅고등학교 모든 학교급을 대상 으로 한 전국 단위의 설문 조사를 통하여 STEAM 교육 실행 여부와 그 이유, 실행 빈도와 교과 시간, 예산, 만족도 등 STEAM 교육 운영 현황 전반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둘째, 이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STEAM 교육의 실행을 진단하고 향후의 STEAM 교육의 개선 방향을 위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