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Potential Therapeutic Strategies for Fat Induced Insulin Resistance","authors":"C. Choi","doi":"10.3803/JKES.2009.24.2.65","DOIUrl":null,"url":null,"abstract":"제2형 당뇨병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 발생의 핵심인자로 생각되고 있는 인슐린 저항성은 생리적 인슐린 농도에서 인 슐린의 작용(인슐린 감수성: Insulin sensitivity)이 저하된 대 사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많은 인슐린 작용 중 당질 및 지 질대사에 대한 작용이 감소된 상태가 대사성 질환의 발병과 깊은 연관성을 나타내어 이를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라 정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슐린은 근육으로 포도당섭 취를 촉진하거나 간에서 포도당생성을 억제함으로 혈당을 조절하는데 인슐린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인슐 린 작용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1~3]. 제2형 당뇨병은 고 혈당을 공통적 요소로 보이지만 많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질환군으로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 에서 특징적이고 공통적으로 관찰되며[1~3],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이 발병하지 않은 자식에서 이미 인슐린 저 항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고[4], 전향적연구에서 인슐린 저 항성이 제2형 당뇨병 발생의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이며[5], 인슐린 저항성을 호전시킴으로 당뇨병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6]를 근거로 제2형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 지하는 비만 및 고지방식이 관련 당뇨병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선행하는 일차적인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 다(Fig. 1).","PeriodicalId":119859,"journ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volume":"1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09-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Endocrine Societ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03/JKES.2009.24.2.6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제2형 당뇨병뿐만 아니라 대사증후군 발생의 핵심인자로 생각되고 있는 인슐린 저항성은 생리적 인슐린 농도에서 인 슐린의 작용(인슐린 감수성: Insulin sensitivity)이 저하된 대 사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많은 인슐린 작용 중 당질 및 지 질대사에 대한 작용이 감소된 상태가 대사성 질환의 발병과 깊은 연관성을 나타내어 이를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라 정의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 인슐린은 근육으로 포도당섭 취를 촉진하거나 간에서 포도당생성을 억제함으로 혈당을 조절하는데 인슐린이 부족하지 않은 상태에서 이러한 인슐 린 작용이 감소된 상태를 의미한다[1~3]. 제2형 당뇨병은 고 혈당을 공통적 요소로 보이지만 많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질환군으로 인슐린 저항성은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대부분 에서 특징적이고 공통적으로 관찰되며[1~3],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뇨병이 발병하지 않은 자식에서 이미 인슐린 저 항성을 보이는 경우가 있고[4], 전향적연구에서 인슐린 저 항성이 제2형 당뇨병 발생의 가장 강력한 예측인자이며[5], 인슐린 저항성을 호전시킴으로 당뇨병 발병을 예방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6]를 근거로 제2형 당뇨병의 대부분을 차 지하는 비만 및 고지방식이 관련 당뇨병에서는 일반적으로 인슐린 저항성이 선행하는 일차적인 원인으로 생각되고 있 다(Fig.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