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Understanding of Jinul’s Thought in the Joseon Period\u2028-Focusing on Beopjipbyeolhaengrokjeolyobyongipsagi","authors":"정희경","doi":"10.21482/jbs.55..201806.155","DOIUrl":null,"url":null,"abstract":"현재 학계에서는 고려시대 지눌의 사상을 선교겸수(禪敎兼修)와 사교입선(捨敎入禪)으로 해석하면서,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그대로 계승된 한국불교의 수행 전통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가 이조불교(1929)에서 청허휴정의 사상을 선교겸수후 좌선견성으로 해석하고 그 연원을 지눌에게서 찾은...","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1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5..201806.15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현재 학계에서는 고려시대 지눌의 사상을 선교겸수(禪敎兼修)와 사교입선(捨敎入禪)으로 해석하면서, 조선시대를 거쳐 오늘날까지 그대로 계승된 한국불교의 수행 전통으로 규정하고 있다. 다카하시 토오루(高橋亨)가 이조불교(1929)에서 청허휴정의 사상을 선교겸수후 좌선견성으로 해석하고 그 연원을 지눌에게서 찾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