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창고관리시스템 도입을 위한 핵심성공요인에 관한 연구","authors":"진혜원, 김상열, 장현미","doi":"10.15735/KLS.2015.23.2.001","DOIUrl":null,"url":null,"abstract":"급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과거보다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의 중요성을 인 식하고 있으며 공급사슬의 수행단계인 창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도입한 전 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의 내부모듈인 창고관리시스템은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다양하고 특수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물류전문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의 대형 지역 물류센터에서는 동종 최고의 창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특화된 물류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고시스템을 설치할 때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성공요인이 무엇인지 한 다국적 기업 A의 창고관리시스 템 도입사례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하여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먼저 다른 소프트웨어나 전사적 자원관리에 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창고관리시스템 도입 시 필요한 핵 심요인을 파악하여 25개의 핵심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국적기업 A의 창고관리시스템 설치에 참여한 전 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창고관리시스템의 도입 시 간과해서는 안 되는 핵심요인 11개를 도출하였다. 도출 된 11개의 핵심요인을 바탕으로 A사의 창고관리시스템 도입 시 참여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검증하였 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4개의 요인 (변화관리 관점, 프로젝트 수행관점, 조직문화관점, 지식과 기술 관점)을 도출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분석된 핵심요인들은 창고관리시스템을 실행하는 기업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PeriodicalId":384419,"journ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volume":"2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5-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Logistic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35/KLS.2015.23.2.0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급변하는 글로벌 비즈니스 환경에 따라 많은 기업들이 과거보다 공급망 관리(Supply Chain) 의 중요성을 인 식하고 있으며 공급사슬의 수행단계인 창고의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많은 기업들이 도입한 전 사적 자원관리 시스템(ERP)의 내부모듈인 창고관리시스템은 기본적인 기능만을 제공하므로 다양하고 특수한 물류서비스를 제공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물류전문기업이나 글로벌 기업의 대형 지역 물류센터에서는 동종 최고의 창고관리시스템을 도입하여 특화된 물류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창고시스템을 설치할 때 중점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성공요인이 무엇인지 한 다국적 기업 A의 창고관리시스 템 도입사례를 통하여 고찰하고자 하였으며 요인분석을 통하여 핵심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 서는 먼저 다른 소프트웨어나 전사적 자원관리에 관한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창고관리시스템 도입 시 필요한 핵 심요인을 파악하여 25개의 핵심요인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다국적기업 A의 창고관리시스템 설치에 참여한 전 문가들과의 인터뷰를 통하여 창고관리시스템의 도입 시 간과해서는 안 되는 핵심요인 11개를 도출하였다. 도출 된 11개의 핵심요인을 바탕으로 A사의 창고관리시스템 도입 시 참여한 직원들을 대상으로 중요도를 검증하였 으며 요인분석을 통해 4개의 요인 (변화관리 관점, 프로젝트 수행관점, 조직문화관점, 지식과 기술 관점)을 도출 하였다. 본 연구에 의해 분석된 핵심요인들은 창고관리시스템을 실행하는 기업에게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미연에 방지하고, 보다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