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만 식품 기업의 중국대륙시장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

손상범
{"title":"대만 식품 기업의 중국대륙시장 개발에 관한 사례연구","authors":"손상범","doi":"10.17935/CHINAN.2014.23..267","DOIUrl":null,"url":null,"abstract":"대만 국민당 정부가 대만자본의 중국대륙 직접투자를 허용한 1991년을 기점으로 다수의 대만 식품기업들은 협소한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발로로서 중국대륙을 선택하였다. 언어와 문화적 배경의 근접성을 핵심역량으로 삼았던 대만기업은 일제강점기부터 기반을 닦았던 식품가공기술에 탁월한 마케팅기법과 중국의 전통적인 맛을 계승함과 동시에 현대적인 트렌드를 가미한 식품들을 앞세워 중국시장을 급속도로 선점하였으며, 계획경제 하에서 답보상태에 있던 중국 식품산업의 발전에 큰 자극제 역할을 하였다. 한중교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20년이 넘는 시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류는 사회경제문화 등 전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식품산업도 그 중 중요한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우려를 넘어서 불신의 단계에 다다른 중국시장에서 대만식품과 한국식품은 여러 분야에 걸쳐 경쟁 상태에 놓여있으며, 이를 도약의 기회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쟁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만출신 기업으로서 중국의 식음료 시장의 상위를 모두 석권하고 있는 세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라면분야에서의 康師傅와 제품 구성에 있어 이와 경쟁하고 있는 統一, 그리고 쌀 과자로 시작하여 비상관 다각화를 통해 거대기업으로 거듭난 旺旺의 사례를 경영전략, 유통전략, 경영철학 등을 통해 비교분석하여 그들의 핵심역량을 도출해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경쟁자 분석이 한국 식품기업의 중국 시장전략 수립과 경쟁자분석에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PeriodicalId":117855,"journal":{"name":"China and Sinology","volume":"7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09-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China and Sinolog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935/CHINAN.2014.23..26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대만 국민당 정부가 대만자본의 중국대륙 직접투자를 허용한 1991년을 기점으로 다수의 대만 식품기업들은 협소한 국내시장에서 벗어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는 발로로서 중국대륙을 선택하였다. 언어와 문화적 배경의 근접성을 핵심역량으로 삼았던 대만기업은 일제강점기부터 기반을 닦았던 식품가공기술에 탁월한 마케팅기법과 중국의 전통적인 맛을 계승함과 동시에 현대적인 트렌드를 가미한 식품들을 앞세워 중국시장을 급속도로 선점하였으며, 계획경제 하에서 답보상태에 있던 중국 식품산업의 발전에 큰 자극제 역할을 하였다. 한중교류가 본격적으로 시작된지 20년이 넘는 시점에서 한국과 중국의 교류는 사회경제문화 등 전면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식품산업도 그 중 중요한 일부를 담당하고 있다. 식품 안전에 대한 인식이 우려를 넘어서 불신의 단계에 다다른 중국시장에서 대만식품과 한국식품은 여러 분야에 걸쳐 경쟁 상태에 놓여있으며, 이를 도약의 기회로 삼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경쟁자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만출신 기업으로서 중국의 식음료 시장의 상위를 모두 석권하고 있는 세 기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분석하였다. 라면분야에서의 康師傅와 제품 구성에 있어 이와 경쟁하고 있는 統一, 그리고 쌀 과자로 시작하여 비상관 다각화를 통해 거대기업으로 거듭난 旺旺의 사례를 경영전략, 유통전략, 경영철학 등을 통해 비교분석하여 그들의 핵심역량을 도출해내려고 하였다. 이러한 경쟁자 분석이 한국 식품기업의 중국 시장전략 수립과 경쟁자분석에 일조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台湾食品企业开发中国大陆市场的案例研究
以台湾国民党政府允许台湾资本直接投资中国大陆为起点,多数台湾食品企业选择中国大陆,以摆脱狭小的国内市场,开拓新的市场为起点。语言和文化背景的macmahon)作为核心力量的台资企业在从日本帝国主义强占时期打下基础식품가공기술卓越的营销在技法和继承中国传统风味的同时,现代的趋势类的食品,凭借迅速抢占中国市场,在计划经济下,原地踏步的中国食品产业的发展起了很大的자극제作用。韩中交流正式开始已经20多年了,在这种情况下,韩国和中国的交流全面形成了社会经济文化等,食品产业也担当了其中重要的一部分。在对食品安全的认识超越担忧,已经达到不信任阶段的中国市场上,台湾食品和韩国食品在多个领域都处于竞争状态,并将此视为飞跃的机会。本研究为了分析这样的竞争者,以台湾出身的企业包揽了中国饮食市场上位的三家企业为研究对象进行了分析。方便面领域,密之都和产品组成,正在与之竞争的統——以及关于以大米饼干开始,紧急通过多元化企业重生为旺旺的事例通过经营战略、流通战略、经营哲学等比较分析,想努力得出了他们的核心力量。希望这样的竞争者分析能够帮助韩国食品企业树立中国市场战略和分析竞争者。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