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노동에 대한 모든 것: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까지 고등학교 사회과 교과서 텍스트 마이닝 분석","authors":"한미경, 윤다인, Yoonjung Choi","doi":"10.35557/trce.51.4.201912.011","DOIUrl":null,"url":null,"abstract":"청소년 노동 비율의 증가와 더불어 학교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공감대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 교과 중 노동과 관련한 개념과 현상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가장 명확하게 반영하는 교과인 사회과에서의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책무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사회과 교과서 34종에 나타난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지난 10년간 사회과 교육에서 노동인권교육의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한 연관규칙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노동인권교육의 내용을 개정 시기에 따라 횡단 분석, 하위 교과목별 특성에 따라 종단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과서 내 노동인권교육은 2007 개정기 세계화에 따른 노동 시장의 변화를 반영하였고, 2009 개정기 노동자의 인권을 중심으로 노동 관련 주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 개정기 인권교육의 일부로서 접근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과목별로는, 사회(통합사회)는 시기별로 변화하는 노동관련 이슈를 반영하는 양상을 보였고, 경제는 노동을 생산요소의 일부로서 효율성을 강조하던 시각에서 노동의 주체와 노동자 권익에 대한 내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법과정치(정치와 법)는 이론 및 정보 제공에서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법 지식과 의사결정능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모하였다. 사회·문화는 경제적 소외계층의 고용과 노동 복지에 꾸준히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를 중심으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실증적으로 조망하고, 양적·질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30103,"journal":{"name":"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volume":"9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ory and Research in Citizenship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5557/trce.51.4.201912.01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청소년 노동 비율의 증가와 더불어 학교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공감대와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학교 교과 중 노동과 관련한 개념과 현상을 가장 중점적으로 다루고, 사회의 변화와 요구를 가장 명확하게 반영하는 교과인 사회과에서의 노동인권교육에 대한 중요성과 책무성 또한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 개정부터 2015 개정 교육과정 시기까지 학교 현장에서 사용되는 사회과 교과서 34종에 나타난 노동인권교육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지난 10년간 사회과 교육에서 노동인권교육의 무엇을, 얼마나,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탐구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을 기반으로 한 연관규칙 분석을 통해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노동인권교육의 내용을 개정 시기에 따라 횡단 분석, 하위 교과목별 특성에 따라 종단 분석하였다. 사회과 교과서 내 노동인권교육은 2007 개정기 세계화에 따른 노동 시장의 변화를 반영하였고, 2009 개정기 노동자의 인권을 중심으로 노동 관련 주제를 논의하기 시작하였으며, 2015 개정기 인권교육의 일부로서 접근하는 양상을 보였다. 교과목별로는, 사회(통합사회)는 시기별로 변화하는 노동관련 이슈를 반영하는 양상을 보였고, 경제는 노동을 생산요소의 일부로서 효율성을 강조하던 시각에서 노동의 주체와 노동자 권익에 대한 내용을 확장하는 방향으로 변화하였으며, 법과정치(정치와 법)는 이론 및 정보 제공에서 실생활에 적용 가능한 법 지식과 의사결정능력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변모하였다. 사회·문화는 경제적 소외계층의 고용과 노동 복지에 꾸준히 주안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사회과를 중심으로 학교 노동인권교육의 과거와 현재를 실증적으로 조망하고, 양적·질적 성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