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자율성, 업무부담이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authors":"Yeong-U Jeon, Kim Jin-Mo, Young-Hun Hwang","doi":"10.18211/KJHRDQ.2017.19.3.003","DOIUrl":null,"url":null,"abstract":"대기업 팀 상황에서의 소통 부재는 중요한 정보전달 방해와 상황판단 및 의사결정을 왜곡시켜 조직과 팀의 수행능력을 떨어뜨리며, 현재 이러한 현상이 대기업 현장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팀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자율성, 업무부담이 조직침묵의 유형 중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A그룹 14개 계열사 조직구성원 26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체념적 침묵에는 직무자율성이 부적으로,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업무부담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방어적 침묵에는 리더의 윤리적 행동이 정적으로, 직무자율성과 업무부담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기업의 조직침묵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개입의 설계 및 실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PeriodicalId":363310,"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volume":"92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Quarterly","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211/KJHRDQ.2017.19.3.0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대기업 팀 상황에서의 소통 부재는 중요한 정보전달 방해와 상황판단 및 의사결정을 왜곡시켜 조직과 팀의 수행능력을 떨어뜨리며, 현재 이러한 현상이 대기업 현장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업 팀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직무자율성, 업무부담이 조직침묵의 유형 중 체념적 침묵과 방어적 침묵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데 있었다.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A그룹 14개 계열사 조직구성원 266명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체념적 침묵에는 직무자율성이 부적으로, 리더의 윤리적 행동과 업무부담이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방어적 침묵에는 리더의 윤리적 행동이 정적으로, 직무자율성과 업무부담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기업의 조직침묵 현상을 이해하고, 이를 예방하거나 해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인적자원개발 개입의 설계 및 실행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