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즐거움의 정원과 수사학의 꽃󰡕 수록 「제2수사학 지침」 10장 연구

김준한
{"title":"󰡔즐거움의 정원과 수사학의 꽃󰡕 수록 「제2수사학 지침」 10장 연구","authors":"김준한","doi":"10.36032/lcf.2019.22..001","DOIUrl":null,"url":null,"abstract":"본고는 1501년경 672편의 궁정시를 수록해 출간된 시선집 『즐거움의 정원과 수사학의 꽃』 서두에 실린 앵포르튀네의 「제2수사학 지침」 10장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앵포르튀네의 지침은 당대의 다른 ‘제2수사학’ 계열의 시법서들과 달리 10장에서 교훈극, 소극, 성사극과 같은 연극은 물론 연대기, 역사, 로망 작법을 다루고 있다.\n제2수사학 계열의 시법과는 일견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이 문학 장르들을 앵포르튀네가 자신의 「지침」 마지막 장의 주제로 삼은 의도는 당시까지의 제2수사학을 넘어 시법 적용이 가능한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서사시와 비극, 이야기와 연극은 동일한 창작과정에서 비롯된 두 개의 결과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호라티우스의 사상을 이어받은 것이었다.\n「지침」 10장 전체를 관통하는 대원칙은 각각의 등장인물이 자신의 신분과 위상에 걸맞는 언어를 사용하게 하는 적정률(decorum)이었다. 또한 서정시와 달리 연극, 연대기, 역사, 로망을 시인 자신인 1인칭 화자 이외의 화자를 등장시켜 시를 쓰는 것이 가능한 장르로 간주하여 시법의 경계를 확장하였으며, 적정률로 정의된 등장인물의 설정을 통해 시법에 처음으로 발화행위의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PeriodicalId":199390,"journal":{"name":"Litterature Classique Francaise","volume":"19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Litterature Classique Francais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6032/lcf.2019.22..00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고는 1501년경 672편의 궁정시를 수록해 출간된 시선집 『즐거움의 정원과 수사학의 꽃』 서두에 실린 앵포르튀네의 「제2수사학 지침」 10장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는다. 앵포르튀네의 지침은 당대의 다른 ‘제2수사학’ 계열의 시법서들과 달리 10장에서 교훈극, 소극, 성사극과 같은 연극은 물론 연대기, 역사, 로망 작법을 다루고 있다. 제2수사학 계열의 시법과는 일견 전혀 상관이 없어 보이는 이 문학 장르들을 앵포르튀네가 자신의 「지침」 마지막 장의 주제로 삼은 의도는 당시까지의 제2수사학을 넘어 시법 적용이 가능한 범위를 확장하기 위한 것이었으며, 서사시와 비극, 이야기와 연극은 동일한 창작과정에서 비롯된 두 개의 결과물이라는 아리스토텔레스와 호라티우스의 사상을 이어받은 것이었다. 「지침」 10장 전체를 관통하는 대원칙은 각각의 등장인물이 자신의 신분과 위상에 걸맞는 언어를 사용하게 하는 적정률(decorum)이었다. 또한 서정시와 달리 연극, 연대기, 역사, 로망을 시인 자신인 1인칭 화자 이외의 화자를 등장시켜 시를 쓰는 것이 가능한 장르로 간주하여 시법의 경계를 확장하였으며, 적정률로 정의된 등장인물의 설정을 통해 시법에 처음으로 발화행위의 개념을 도입하기도 했다.
󰡔快乐的庭院和修辞学的花󰡕收录《第二修辞学指南》10章研究
本书将1501年收录672篇宫廷诗出版的诗选集《快乐的庭院和修辞学之花》开篇刊登的安·波尔图奈的《第2修辞学指南》第10章作为分析对象。安波特涅的方针与当代其他“第二修辞学”系列的法律书不同,在第10章中不仅讲述了校训剧、消极剧、成剧等话剧,还讲述了编年史、历史、浪漫作法。第二修辞学与系列的法乍一看,这些看起来完全不相干的文学体裁,庞波尔溅你自己作为《指南》最后一章的主题是意图是当时为止的第二修辞学越过法可适用的范围是为了扩张,史诗和悲剧、故事和戏剧源自同一有可能是两个结果亚里士多德和贺拉斯的思想是继承了。贯穿《指南》第10章的大原则是让每个登场人物使用符合自己身份和地位的语言的适当率(decorum)。并且抒情诗和不同,话剧、编年史、历史,憧憬承认自己的第一人称叙述者以外的叙述者,出场也写诗,市法院视为是可能的类型的边界,适度扩展率被定义为通过剧中人物的设定,在市公安首次引入발화행위的概念。”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