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co-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or Low Environmental Impacts and Biodiversity

H. Cho
{"title":"Eco-road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for Low Environmental Impacts and Biodiversity","authors":"H. Cho","doi":"10.17820/ERI.2016.3.3.153","DOIUrl":null,"url":null,"abstract":"*Corresponding author: hjcho@kict.re.kr, ORCID 0000-0003-2533-2872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로마제국이 세계 정복을 위한 도구로 도로를 정비하면 서부터 도로는 효율적이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공사 비와 유지관리가 저렴하도록 설계하고 시공하여 운영하여 왔다. 이러한 경제적인 효율성에 근거한 도로건설은 다음 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양산하면서 환경과 생태계의 부 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첫째, 저렴하고 빠른 건설을 위해 서 대부분의 도로건설은 직선노선으로 설계되었고 건설 중에 산지의 무모한 훼손과 동물서식지의 분절을 가져왔 다 (KICT 2010). 이는 야생동물의 도로횡단사고, 로드킬 을 유발시켰고, 세계 곳곳에서 산지 훼손으로 인한 산사태 및 홍수범람의 문제를 야기시켰다 (Cho 2016a). 둘째, 장 기적으로 튼튼한 구조물을 위해서 도로구조에서 가능한 물의 침투를 배제하여 도로 노면유출수를 최대한 빨리 배 수시설로 보내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설계는 도로의 건 설이 확대되면서 지표면의 불투수층의 확산이 이루어졌고 물의 자연적인 증발산을 막아 문제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 에 기여하게 되었다 (Cho 2010). 지난 20년간 이러한 도로건설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서 다양한 패러다임과 건설기술들이 도입되었다. 2000년 대에 국토교통부는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책기조로 도로건설의 정책과 제도, 기술에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하였고 2004년 국토부와 환경부 공 동으로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지침을 마련하고 (MOE and MOLIT 2004, MOLIT 2010), 환경영향평가를 통 해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도로설계와 시공이 되도록 제도화 시켰다. 이번 특별호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속에서 현재 이 와 같은 기술과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지속가능한 도로 의 건설과 관리”, “생태건전성을 위한 생태통로의 기능”, “투수포장의 적용” 등 이러한 새로운 접근에 대한 제도적 이고 기술적인 대안을 중심으로 국내 전문가의 논문을 수 록하였다. Noh and Baek (2016)에서는 최근의 급속한 기후변화 에 대응해서 도로의 건설과 유지관리 과정에서 발생시키 는 탄소량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설계와 시공기술의 개발, 그리고 도로에서 발생되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여 녹색도 로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투자평가 시스템을 도입하는 다 양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가의 온실가스 배 출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 도로분야의 건설과 관리를 위해서 녹색도로 인증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도로의 건설단계에서 분야별로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를 두 어서 도로의 지속가능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설계,","PeriodicalId":415343,"journal":{"nam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820/ERI.2016.3.3.15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Corresponding author: hjcho@kict.re.kr, ORCID 0000-0003-2533-2872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This is an open-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Non-Commercial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nc/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 로마제국이 세계 정복을 위한 도구로 도로를 정비하면 서부터 도로는 효율적이고 빠르게 이동할 수 있도록 공사 비와 유지관리가 저렴하도록 설계하고 시공하여 운영하여 왔다. 이러한 경제적인 효율성에 근거한 도로건설은 다음 과 같은 다양한 부작용을 양산하면서 환경과 생태계의 부 정적인 영향을 미쳐왔다. 첫째, 저렴하고 빠른 건설을 위해 서 대부분의 도로건설은 직선노선으로 설계되었고 건설 중에 산지의 무모한 훼손과 동물서식지의 분절을 가져왔 다 (KICT 2010). 이는 야생동물의 도로횡단사고, 로드킬 을 유발시켰고, 세계 곳곳에서 산지 훼손으로 인한 산사태 및 홍수범람의 문제를 야기시켰다 (Cho 2016a). 둘째, 장 기적으로 튼튼한 구조물을 위해서 도로구조에서 가능한 물의 침투를 배제하여 도로 노면유출수를 최대한 빨리 배 수시설로 보내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설계는 도로의 건 설이 확대되면서 지표면의 불투수층의 확산이 이루어졌고 물의 자연적인 증발산을 막아 문제되고 있는 지구 온난화 에 기여하게 되었다 (Cho 2010). 지난 20년간 이러한 도로건설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서 다양한 패러다임과 건설기술들이 도입되었다. 2000년 대에 국토교통부는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정책기조로 도로건설의 정책과 제도, 기술에 변화를 가져오기 시작하였고 2004년 국토부와 환경부 공 동으로 환경친화적인 도로건설지침을 마련하고 (MOE and MOLIT 2004, MOLIT 2010), 환경영향평가를 통 해서 환경영향을 최소화하는 도로설계와 시공이 되도록 제도화 시켰다. 이번 특별호에서는 이러한 변화의 흐름속에서 현재 이 와 같은 기술과 정책에서 가장 중요한 “지속가능한 도로 의 건설과 관리”, “생태건전성을 위한 생태통로의 기능”, “투수포장의 적용” 등 이러한 새로운 접근에 대한 제도적 이고 기술적인 대안을 중심으로 국내 전문가의 논문을 수 록하였다. Noh and Baek (2016)에서는 최근의 급속한 기후변화 에 대응해서 도로의 건설과 유지관리 과정에서 발생시키 는 탄소량을 최소화하는 다양한 설계와 시공기술의 개발, 그리고 도로에서 발생되는 탄소배출량을 산정하여 녹색도 로기술을 적용하기 위한 투자평가 시스템을 도입하는 다 양한 대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국가의 온실가스 배 출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국내 도로분야의 건설과 관리를 위해서 녹색도로 인증제도의 도입을 제안하였다. 도로의 건설단계에서 분야별로 평가항목과 평가지표를 두 어서 도로의 지속가능정도를 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설계,
低环境影响和生物多样性的生态道路建设与养护
*Corresponding author: hjcho@kict.re.kr, ORCID 0000-0003-2533-2872 c Korean Society of Ecology and Infrastructure Engineering。all rights reserved。this is an open - access article distributed under the terms of the creative creativecommons attribution non - commercial license (http: / /听说过。org / licenses / by - nc / 3.0 /);which permits unrestricted non-commercial use, distribution, and reproduction in any medium, provided the original work is properly cited。罗马帝国作为征服世界的工具整顿道路后,为了使道路能够有效、快速地移动,设计和施工管理都以低廉的价格进行运营。这种基于经济效率的公路建设产生了多种副作用,对环境和生态系统产生了负面影响。第一,为了低廉而快速的建设,大部分的道路建设都设计成直线路线,在建设过程中造成了山地的盲目破坏和动物栖息地的分裂(KICT 2010)。这引发了野生动物横穿马路、公路致死、世界各地因山地受损引发山体滑坡和洪水泛滥的问题(Cho 2016a)。第二,长期为了坚固的构造物,在道路结构中排除了可能的水的渗透,将道路路面流出的水尽快送到排水设施中。这样的设计随着道路建设的扩大,使地表的不透水层扩散,阻止了水的自然蒸发,对地球变暖做出了贡献(Cho 2010)。在过去的20年里,为了克服这样的道路建设问题,引进了多样的范式和建设技术。2000年,国土交通部以“绿色公路建设”的新模式为政策基调,开始改变公路建设的政策、制度和技术。2004年,国土部和环境部共同制定了绿色公路建设方针(MOE and MOLIT 2004, MOLIT 2010);通过环境影响评价,使环境影响最小化的道路设计和施工制度化。此次特别号中,这种变化的潮流,但是目前该像技术和政策中最重要的“可持续道路的建设和管理”、“生态为健全性生态通道的功能","投手包装的适用等这些新的准入制度,对技术性对策为中心,国内专家的论文数。noh and baek(2016)在最近的迅速应对气候变化,道路的建设和维护过程中,其产生的碳量最小化的多样的设计和施工技术的开发,以及在公路上产生的碳排放量计算,绿色也适用技术引入评价系统为了投资的杨提出的对策。具体来说,为了实现国家温室气体排放减少的目标,为了国内道路领域的建设和管理,提出了引进绿色道路认证制度。在公路建设阶段,按领域设立评价项目和评价指标,评价公路的可持续程度,并在此基础上进行设计;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