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Forensic Review of Hot Bath-Related Death in the Elderly: Focused on Japanese Studies","authors":"G. Huh, Eui Yong Kim","doi":"10.7580/KJLM.2018.42.2.33","DOIUrl":null,"url":null,"abstract":"겨울이 시작되면 노인들이 목욕 중 갑작스럽게 사망했다는 언론 보도를 심심치 않게 접하게 된다. 정확한 빈도는 알 수 없지만, 전통적으로 대중목욕탕을 자주 이용하는 우리나라의 노인들의 목욕 문화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도 적지 않은 사례 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들이 목욕탕의 온탕(hot bath tub) 목욕 중 사망한 경우, 특별히 이러한 사 망을 지칭하는 정해진 것은 없으나 다양한 용어(온욕사: hot bath-related death, 溫浴死, 입욕사, 욕조 내 사망, dead in hot bath tub, sudden death phenomenon while bathing, sudden bath-related death, bath-related death 등으로 표 현) 중 온욕사가 비교적 적절한 것으로 본 논문에 사용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노인 온욕사의 빈도는 사인통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해볼 수밖에 없다. 2016년도 사인 별 사망통 계를 보면 70세 이상에서 79세까지 및 80세 이상 남자에서 불의의 익사 및 익수에 의한 사망은 10만 명 당 각각 6.4명, 6.6명이고, 같은 연령대의 여자에서도 각각 4.2명, 4.1명으로 전 연령 평균의 3배에 이를 정도로 높은 편에 속하고 있다[1]. 물론 이 통계에서 의미하는 불의의 익사 및 익수에 의한 사망 이 온욕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온욕사 사 례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Korean J Leg Med 2018;42:33-38 https://doi.org/10.7580/kjlm.2018.42.2.33","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2.3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겨울이 시작되면 노인들이 목욕 중 갑작스럽게 사망했다는 언론 보도를 심심치 않게 접하게 된다. 정확한 빈도는 알 수 없지만, 전통적으로 대중목욕탕을 자주 이용하는 우리나라의 노인들의 목욕 문화에 비추어 볼 때 앞으로도 적지 않은 사례 가 지속적으로 발생할 것으로 생각된다. 노인들이 목욕탕의 온탕(hot bath tub) 목욕 중 사망한 경우, 특별히 이러한 사 망을 지칭하는 정해진 것은 없으나 다양한 용어(온욕사: hot bath-related death, 溫浴死, 입욕사, 욕조 내 사망, dead in hot bath tub, sudden death phenomenon while bathing, sudden bath-related death, bath-related death 등으로 표 현) 중 온욕사가 비교적 적절한 것으로 본 논문에 사용하고자 한다. 우리나라에서 노인 온욕사의 빈도는 사인통계를 통해 간접적으로 추정해볼 수밖에 없다. 2016년도 사인 별 사망통 계를 보면 70세 이상에서 79세까지 및 80세 이상 남자에서 불의의 익사 및 익수에 의한 사망은 10만 명 당 각각 6.4명, 6.6명이고, 같은 연령대의 여자에서도 각각 4.2명, 4.1명으로 전 연령 평균의 3배에 이를 정도로 높은 편에 속하고 있다[1]. 물론 이 통계에서 의미하는 불의의 익사 및 익수에 의한 사망 이 온욕사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상당수의 온욕사 사 례가 포함되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 Korean J Leg Med 2018;42:33-38 https://doi.org/10.7580/kjlm.2018.42.2.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