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표충사제영 시첩의 가치와 목판본의 편제","authors":"이대형","doi":"10.21482/JBS.53..201712.109","DOIUrl":null,"url":null,"abstract":"≷표충사제영(表忠祠題詠)≸은 송운(松雲) 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이 사명당 유정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1738년에 당대 관료와 지식인들에게 청하여 받은 시문을 모은 시첩과 그것을 토대로 간행한 목판본을 말한다. 이렇게 특정인을 위한 시집이 간행된 것은 우리 한문문학사에 있어서 유일하다. \n수록된 시들 가운데는...","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7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3..201712.1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표충사제영(表忠祠題詠)≸은 송운(松雲) 대사의 5대 법손인 남붕(南鵬)이 사명당 유정의 공훈을 선양하기 위해 1738년에 당대 관료와 지식인들에게 청하여 받은 시문을 모은 시첩과 그것을 토대로 간행한 목판본을 말한다. 이렇게 특정인을 위한 시집이 간행된 것은 우리 한문문학사에 있어서 유일하다.
수록된 시들 가운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