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Study of the Effect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ocial Support and Teacher Efficacy on Resilience","authors":"Y. Park, H. Song","doi":"10.21213/KJCEC.2018.18.3.77","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PeriodicalId":387227,"journal":{"name":"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volume":"55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3","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Korean Journal of Child Education and Ca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3/KJCEC.2018.18.3.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3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과 회복탄력성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이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교사 282명이다. 자료분석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Stepwise 방식에 의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과 사회적 지지 및 교사효능감 간의 관계에서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지지 전체는 회복탄력성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교사효능감 전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요인 모두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사회적 지지, 교사효능감의 영향력을 검증한 결과 유아교사의 회복탄력성 전체에 대해서는 개인적 교사효능감, 물질적 지지, 일반적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한 영향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회복탄력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사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교사들의 자기계발과 사회적 지지가 뒷받침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