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Assessment of Eyewitness Memory Using Electroencephalogram: Application of Machine Learning Algorithm","authors":"Keunsoo Ham, K. Kim, Hojin Jeong, S. H. Yoo","doi":"10.7580/KJLM.2018.42.2.62","DOIUrl":null,"url":null,"abstract":"목격자 기억은 범죄 수사 또는 범죄 관련 단서의 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수사 맥락에서 중요한 정보들의 원천이다. 목격자들의 기억은 종종 진술의 형태로 얻어지는 데, 그 진술 내용이 항상 정확하지는 않다[1]. 목격자가 의도 적으로 거짓말을 하지 않더라도, 불완전한 기억 인출로 인해 부정확한 진술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진술뿐만 아니라 목격한 장면과 관련된 정보 처리가 이뤄지는 두뇌의 신경생리학적 측정치를 조사할 수 있다[2]. 국내외에서 이미 두뇌의 신경생리학적 측정치(예, 뇌파)를 분석하여 진술 내용 을 평가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데, 특히 진술의 참거짓 여부 를 평가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3,4]. 한편, 기억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신경 실질(correlates)과 관련된 신경생리학 Korean J Leg Med 2018;42:62-70 https://doi.org/10.7580/kjlm.2018.42.2.62","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2 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05-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8.42.2.6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목격자 기억은 범죄 수사 또는 범죄 관련 단서의 사실 여부를 판단하는 것과 같은 다양한 수사 맥락에서 중요한 정보들의 원천이다. 목격자들의 기억은 종종 진술의 형태로 얻어지는 데, 그 진술 내용이 항상 정확하지는 않다[1]. 목격자가 의도 적으로 거짓말을 하지 않더라도, 불완전한 기억 인출로 인해 부정확한 진술을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이다. 이때, 진술뿐만 아니라 목격한 장면과 관련된 정보 처리가 이뤄지는 두뇌의 신경생리학적 측정치를 조사할 수 있다[2]. 국내외에서 이미 두뇌의 신경생리학적 측정치(예, 뇌파)를 분석하여 진술 내용 을 평가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는데, 특히 진술의 참거짓 여부 를 평가하는 연구들이 많이 수행되었다[3,4]. 한편, 기억 처리 과정에 관여하는 신경 실질(correlates)과 관련된 신경생리학 Korean J Leg Med 2018;42:62-70 https://doi.org/10.7580/kjlm.2018.42.2.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