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만해 한용운의 불교유신사상에 나타난 ‘주체적 근대화’와 마음수양론","authors":"정혜정","doi":"10.21482/JBS.51..201706.125","DOIUrl":null,"url":null,"abstract":"만해의 불교유신사상은 한국불교의 전통적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서구 근대사조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토착적 근대화를 이끌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만해가 주목한 근대사조는 자유주의, 평등, 박애, 구세주의, 세계주의, 사회진화론, 사회주의 등이었지만 그러나 이 모두는 서구 근대 개념을 그대로 이행한 것은 아니었다. 만해의 자유는 양계 초와 칸트의 진아론을...","PeriodicalId":315087,"journ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volume":"4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6-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BUL GYO HAK YEONGU-Journal of Buddhist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482/JBS.51..201706.1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만해의 불교유신사상은 한국불교의 전통적 사유를 계승하면서도 서구 근대사조를 주체적으로 수용하여 토착적 근대화를 이끌어낸 것이라 할 수 있다. 만해가 주목한 근대사조는 자유주의, 평등, 박애, 구세주의, 세계주의, 사회진화론, 사회주의 등이었지만 그러나 이 모두는 서구 근대 개념을 그대로 이행한 것은 아니었다. 만해의 자유는 양계 초와 칸트의 진아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