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S Women"s University Camp Program

Y. Ju, parkhongseok, Kim Sunjoo
{"title":"The effect of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on 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subjective wellbeing of female college students : Focusing on the S Women\"s University Camp Program","authors":"Y. Ju, parkhongseok, Kim Sunjoo","doi":"10.18338/kojmee.2018..61.135","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대학 소속 교수 2인과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자문을 위한 인성교육 관련 전공 교수 및 조교들로 구성된 연구진이 S여대의 정체성을 담되, 인성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가치구분인 개인가치, 대인가치, 사회가치를 접촉과 비움, 채움, 나눔 4개의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을 인성교육진흥법에 기반한 인성 8대 덕목의 활동으로 구성한 1박 2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 소재 S여대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7명씩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금요일 오후부터 토요일 오전까지 1박 2일에 걸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달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유의한 감소와 주관적 안녕감의 유의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면의 또래들과 함께 공동생활을 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이 막연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참여자의 향상된 사회적 자기개념의 확신이나 긍정적 안목은 관계에서의 유능감이나 안정감을 갖게 하고, 그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주관적 안녕감까지 느끼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PeriodicalId":227623,"journal":{"name":"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volume":"16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1-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Moral & Ethics Educ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38/kojmee.2018..61.13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여대생의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 데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교양교육대학 소속 교수 2인과 프로그램 구성에 대한 자문을 위한 인성교육 관련 전공 교수 및 조교들로 구성된 연구진이 S여대의 정체성을 담되, 인성교육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가치구분인 개인가치, 대인가치, 사회가치를 접촉과 비움, 채움, 나눔 4개의 기준으로 나누어, 각각을 인성교육진흥법에 기반한 인성 8대 덕목의 활동으로 구성한 1박 2일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서울 소재 S여대 1학년을 대상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각각 17명씩으로 구성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금요일 오후부터 토요일 오전까지 1박 2일에 걸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아무런 조치도 취하지 않는 것으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결과,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달리, 프로그램에 의해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의 유의한 감소와 주관적 안녕감의 유의한 향상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초면의 또래들과 함께 공동생활을 하고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과정이 막연한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안에 대한 부정적 시각을 어느 정도 긍정적으로 바꿀 수 있었던 것으로 해석할 수 있으며, 참여자의 향상된 사회적 자기개념의 확신이나 긍정적 안목은 관계에서의 유능감이나 안정감을 갖게 하고, 그로 인해 궁극적으로는 주관적 안녕감까지 느끼게 하는 데 기여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人格教育项目对女大学生社交焦虑和主观幸福感的影响——以S女子大学夏令营项目为例
本研究的目标是验证人性教育项目对女大学生的社会相互作用不安及主观安宁感产生的效果。为此大学所属的教授教养教育,二人和节目构成为对咨询人性教育相关专业教授及助教们组成的研究团队s女子盛的整体性,在人性地对待重要的价值区分个人价值,人际接触价值、社会价值和非锶,套,分享分成4个标准,分别开发了以人性教育振兴法为基础的人性8大品德活动组成的2天1夜的人性教育项目。以位于首尔的S女子大学1年级学生为对象,由实验组和对照组各17人组成进行了研究。以实验组为对象,从周五下午到周六上午进行了为期2天1夜的人性教育项目,研究设计为对照组不采取任何措施。研究结果表明,实验组与控制组不同,通过程序可以显著减少社会相互作用的不安感和提高主观安宁感。这样的结果和初次见面的同龄人一起共同生活,参与节目的过程对模糊的社会情况下不安的消极看法,一定程度上可以转化为积极的可以解释为,参与人的提高自己的社会概念的或积极的眼光是关系中的确信有能力拥有感和安全感,其意义在于,最终让人感到主观安宁。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