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프로덕션으로서 현실주의 연극-리미니 프로토콜의 과 의 체계성

백영주
{"title":"포스트 프로덕션으로서 현실주의 연극-리미니 프로토콜의 과 의 체계성","authors":"백영주","doi":"10.18396/ktsa.2020.1.73.005","DOIUrl":null,"url":null,"abstract":"쌍방향 소통과 사회 관계망 문화가 일반화된 현시점에서 이미지 생산은 수용자와 불가분한 관계 양상을 보인다. 전후(前後) 위계 관계로 분리되었던 제작과 수용 체계를 연동하려는 시도는 공연 형식뿐만 아니라, 극장의 물리적 형세를 바꾸어놓고 있다. ‘탈생산’, ‘후기 생산체계’, ‘탈/후반 제작’ 등으로 풀이 가능한 포스트 프로덕션(Postproduction) 개념은 탈근대를 관통하면서, 과잉과 잉여의 악순환에 빠진 소비주의와 무한 경쟁체제의 임계치를 감지한 동세대의 위기의식을 투영한다. 사용자 문화의 출몰과 더불어 창조권의 분배와 참여 방식을 다변화하려는 시도가 탈영역적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독일-스위스계 공연그룹 리미니 프로토콜(Rimini Protokoll, 2000년 결성)은 포스트 프로덕션의 맥락에서 진화 중인 현실 참여적 연극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무대-객석, 제작-수용, 나아가 현실과의 관계 역학을 재편하는 작업방식의 기저에는 집단지성에 대한 신뢰가 있다. 여기서 프로덕션은 개별 참여자 ‘누구나’ 창조적 주체임을 입증해 보이는 자구(自求)적 플랫폼으로서 상정된다. ‘다큐멘터리 연극’, ‘일상의 전문가’, ‘현실성’을 표방하며 일상과 예술, 인종과 국경을 가로지르는 리미니 프로토콜의 행보는 네트워크 사용자 문화를 기반으로 격변중인 매체 지형에서 오늘의 극장/연극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를 되묻고 있다. 여기서 역지사지의 공감력은 동일시(同一視)나 동정(同情), 일체(一體)감이 아닌 ‘각자 다르지만 동등한’ 인격체 간의 존중에 근간한다. 공조관계의 준칙을 설정하는 과정은 독립적 존재로서 시공간적 거리 간격과 간극을 조율하며 현실을 대하는 네트워킹 작업을 통해 체계화되고 있다.","PeriodicalId":162501,"journ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0-02-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korean theatre studies association","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8396/ktsa.2020.1.73.0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쌍방향 소통과 사회 관계망 문화가 일반화된 현시점에서 이미지 생산은 수용자와 불가분한 관계 양상을 보인다. 전후(前後) 위계 관계로 분리되었던 제작과 수용 체계를 연동하려는 시도는 공연 형식뿐만 아니라, 극장의 물리적 형세를 바꾸어놓고 있다. ‘탈생산’, ‘후기 생산체계’, ‘탈/후반 제작’ 등으로 풀이 가능한 포스트 프로덕션(Postproduction) 개념은 탈근대를 관통하면서, 과잉과 잉여의 악순환에 빠진 소비주의와 무한 경쟁체제의 임계치를 감지한 동세대의 위기의식을 투영한다. 사용자 문화의 출몰과 더불어 창조권의 분배와 참여 방식을 다변화하려는 시도가 탈영역적으로 전개되는 가운데, 독일-스위스계 공연그룹 리미니 프로토콜(Rimini Protokoll, 2000년 결성)은 포스트 프로덕션의 맥락에서 진화 중인 현실 참여적 연극의 현주소를 보여준다. 무대-객석, 제작-수용, 나아가 현실과의 관계 역학을 재편하는 작업방식의 기저에는 집단지성에 대한 신뢰가 있다. 여기서 프로덕션은 개별 참여자 ‘누구나’ 창조적 주체임을 입증해 보이는 자구(自求)적 플랫폼으로서 상정된다. ‘다큐멘터리 연극’, ‘일상의 전문가’, ‘현실성’을 표방하며 일상과 예술, 인종과 국경을 가로지르는 리미니 프로토콜의 행보는 네트워크 사용자 문화를 기반으로 격변중인 매체 지형에서 오늘의 극장/연극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를 되묻고 있다. 여기서 역지사지의 공감력은 동일시(同一視)나 동정(同情), 일체(一體)감이 아닌 ‘각자 다르지만 동등한’ 인격체 간의 존중에 근간한다. 공조관계의 준칙을 설정하는 과정은 독립적 존재로서 시공간적 거리 간격과 간극을 조율하며 현실을 대하는 네트워킹 작업을 통해 체계화되고 있다.
作为后期制作,现实主义戏剧-迷你协议的过份系统性
在双向沟通和社会关系网文化普遍化的现在,形象生产呈现出与受用者不可分割的关系。试图联动因前后位阶关系而分离的制作和接受体系,不仅改变了演出形式,也改变了剧场的物理形势。可以解释为“脱生产”、“后期生产体系”、“脱/后制作”等的Postproduction概念反映了贯穿脱近代,感受到了陷入过剩和剩余恶性循环的消费主义和无限竞争体制临界值的同时代的危机意识。用户文化的创造与出没权的分配和参与方式试图多元化开小差逆转地展开的情况下,德国-瑞士演出集团迷你协议(rimini protokoll, 2000年成立),是进化中的post production的背景中展现现实参与戏剧的现状。舞台-观众席,制作-收容,进而改编与现实的关系力学的工作方式的基础是对集团知性的信赖。在这里,production被认为是证明个别参与者“任何人”都是创造性主体的自救平台。“戏剧”、“日常的纪录片专家”、“现实性”标榜,日常生活和艺术,种族和横跨边境的迷你协议的行动网络媒体用户正在以文化为基础的剧变的地形中今天的剧院/反问着可以成为什么。在这里换位思考的共感力是建立在“各自不同但同等”人格体之间的尊重上的,而不是同样的认知、同理心或一体感。设定互助关系准则的过程作为独立的存在,通过调节时空间隔和间隙,面对现实的网络工作,正在系统化。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