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and Japan’s Trade Policy)

Gyupan Kim, Hyong-Kun Lee, Jungeun Lee, Jegook Kim
{"title":"글로벌 통상환경 변화와 일본의 통상정책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and Japan’s Trade Policy)","authors":"Gyupan Kim, Hyong-Kun Lee, Jungeun Lee, Jegook Kim","doi":"10.2139/ssrn.3299905","DOIUrl":null,"url":null,"abstract":"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의 보호무역주의를 중심으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를 개관하고 이에 대한 일본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정부의 대응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는 것을 첫 번째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단, 일본정부가 과거 1980∼90년대 미국의 일방적 통상압력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였고 그 결과는 무엇이었는가에 초점을 맞춤과 동시에,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출범에 맞춰 일본이 선제적으로 제안한 미·일 경제대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보고서 제2장이 여기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목적은 한·일 간 경쟁을 FTA를 둘러싼 경쟁 관점에서 접근한 후, 일·ASEAN FTA(AJCEP)를 비롯한 일본의 기체결 FTA와 현재 협상 중인 RCEP과 한·중·일 FTA, 그리고 2017년 11월 일본 주도로 기본합의에 도달한 TPP11과 2017년 12월 타결된 일·EU FTA에 드러난 일본의 FTA 정책·전략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보고서 제3장부터 제5장까지가 여기에 해당한다. \n \nEnglish Abstract: The 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focusing on the trade protectionism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S., while examining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e to such changes, thereby drawing implications for Korea. To be more specific,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Japanese government responded to U.S. unilateral trade pressures in the 1980s and 1990s, and how Japan, based on this experience, proposed and formed the U.S.-Japan Economic Dialogue. This objective is addressed in Chapter 2 of the study.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free trade agreements (FTA), and analyze Japan’s FTA policy and strategy, focusing on the ASEAN-Japan FTA (AJCEP), RCEP, Korea-China-Japan FTA, the TPP 11, and the Japan-EU FTA. This discussion is covered in Chapters 3, 4, and 5 of the study.","PeriodicalId":137430,"journal":{"name":"Asian Law eJournal","volume":null,"pages":null},"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11-27","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Asian Law eJournal","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39/ssrn.329990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Korean Abstract: 본 연구는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의 보호무역주의를 중심으로 글로벌 통상환경 변화를 개관하고 이에 대한 일본정부의 정책적 대응을 살펴봄으로써, 일본정부의 대응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를 도출하는 것을 첫 번째 연구목적으로 삼았다. 단, 일본정부가 과거 1980∼90년대 미국의 일방적 통상압력에 대해 어떻게 대응하였고 그 결과는 무엇이었는가에 초점을 맞춤과 동시에, 그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출범에 맞춰 일본이 선제적으로 제안한 미·일 경제대화를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보고서 제2장이 여기에 해당한다. 본 연구의 두 번째 연구목적은 한·일 간 경쟁을 FTA를 둘러싼 경쟁 관점에서 접근한 후, 일·ASEAN FTA(AJCEP)를 비롯한 일본의 기체결 FTA와 현재 협상 중인 RCEP과 한·중·일 FTA, 그리고 2017년 11월 일본 주도로 기본합의에 도달한 TPP11과 2017년 12월 타결된 일·EU FTA에 드러난 일본의 FTA 정책·전략을 다각도로 분석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보고서 제3장부터 제5장까지가 여기에 해당한다. English Abstract: The 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focusing on the trade protectionism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S., while examining the Japanese government’s response to such changes, thereby drawing implications for Korea. To be more specific,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Japanese government responded to U.S. unilateral trade pressures in the 1980s and 1990s, and how Japan, based on this experience, proposed and formed the U.S.-Japan Economic Dialogue. This objective is addressed in Chapter 2 of the study. 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free trade agreements (FTA), and analyze Japan’s FTA policy and strategy, focusing on the ASEAN-Japan FTA (AJCEP), RCEP, Korea-China-Japan FTA, the TPP 11, and the Japan-EU FTA. This discussion is covered in Chapters 3, 4, and 5 of the study.
全球贸易环境变化与日本贸易政策(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and Japan ' s Trade Policy)
korean abstract:本研究是特朗普上台后,美国政府的贸易保护主义为中心的全球贸易环境变化开馆,对此日本政府的政策查看对应春季,日本政府的应对,对我们的启示,引出作为第一个研究。团、日本政府过去80 ~ 90年代对如何应对美国单方面的贸易压力,结果是什么,将焦点放在了呢,同时,这样的经验为基础,特朗普美国行政部出台之际,日本主动提出的美日经济对话为中心,开展了讨论。报告书第2章就属于这一范围。本研究的第二个研究目的是,从围绕FTA的竞争观点出发看待韩日之间的竞争,然后考虑包括日韩东盟自由贸易协定(AJCEP)在内的日本自由贸易协定和目前正在谈判中的RCEP以及韩中日自由贸易协定(FTA)。同时,从多个角度分析2017年11月在日本主导下达成基本协议的TPP11和2017年12月签署的日欧FTA中体现的日本的FTA政策、战略,引出政策启示。报告书第3章到第5章属于这一范围。english abstract:first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observe The changes in The global trade environment, focusing on The trade protectionism after The inauguration of The Trump administration in The u.s.,while examining the Japanese government ' s response to such changes, thereby drawing implications for Korea。To be more specific, this research focuses on how the Japanese government responded To u.s. unilateral trade pressures in the 1980s and 1990s, and how Japan, based on this experience;proposed and formed the u.s. -Japan Economic Dialogue。This objective is addressed in Chapter 2 of the study。The second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competition between Korea and Japan from The perspective of free trade agreements (FTA), and analyze Japan ' s FTA policy and strategyfocusing on the ASEAN-Japan FTA (AJCEP), RCEP, Korea-China-Japan FTA, the TPP 11, and the Japan-EU FTA。This discussion is covered in Chapters 3,4,5 of the study。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48195908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