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line sexual violence and sexual objectification: through victimized experience online

Kim Sooah, Dahye Chang
{"title":"Online sexual violence and sexual objectification: through victimized experience online","authors":"Kim Sooah, Dahye Chang","doi":"10.38196/MGC.2019.03.34.1.8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온라인 성폭력(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자와의 심층 면접 결과를 통해, 온라인을 통한 언어적 성적 괴롭힘 및 비동의 촬영, 유포 등의 문제가 어떤 침해의 성격을 가지며 성적 대상화 문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면접 결과, 언어를 이용한 괴롭힘 문제가 현행법상 가볍게 취급되고 온라인 상에서 이미 일반화된 문화적 경향이라는 문제가 나타났다. 비동의 촬영 및 유포 범죄에서는 현행법상 성적 수치심의 판단 범위인 신체 노출이 되지 않아도 피해자들이 성적 침해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노출이 없는 사진도 유포 과정에서 성적 비하와 모욕이 동반된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개인의 이미지가 성적 이미지로만 환원되어 소비되는 것에 모욕감을 느끼고 있었다. 여성의 성적 대상화가 남성 중심 온라인 문화의 구성 원리로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으며 이미지 중심 문화가 될수록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성적 농담과 비하가 유머 코드가 되고 있고, 불법촬영물은 범죄가 아닌 음란물로 소비되는 것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시각적 볼거리가 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문화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PeriodicalId":448338,"journal":{"name":"Media, Gender & Culture","volume":"1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Media, Gender & Cul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196/MGC.2019.03.34.1.8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온라인 성폭력(디지털 성폭력) 피해 경험자와의 심층 면접 결과를 통해, 온라인을 통한 언어적 성적 괴롭힘 및 비동의 촬영, 유포 등의 문제가 어떤 침해의 성격을 가지며 성적 대상화 문화와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드러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면접 결과, 언어를 이용한 괴롭힘 문제가 현행법상 가볍게 취급되고 온라인 상에서 이미 일반화된 문화적 경향이라는 문제가 나타났다. 비동의 촬영 및 유포 범죄에서는 현행법상 성적 수치심의 판단 범위인 신체 노출이 되지 않아도 피해자들이 성적 침해로 인식하고 있음이 나타났다. 노출이 없는 사진도 유포 과정에서 성적 비하와 모욕이 동반된다. 인터뷰 참여자들은 개인의 이미지가 성적 이미지로만 환원되어 소비되는 것에 모욕감을 느끼고 있었다. 여성의 성적 대상화가 남성 중심 온라인 문화의 구성 원리로 오랫동안 자리잡고 있으며 이미지 중심 문화가 될수록 더욱 강화되고 있다는 문제가 있다. 인터넷 개인 방송에서 성적 농담과 비하가 유머 코드가 되고 있고, 불법촬영물은 범죄가 아닌 음란물로 소비되는 것은 여성의 신체 이미지가 시각적 볼거리가 되는 것을 당연하게 여기고 있는 문화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网络性暴力与性物化:通过网络受害者的体验
这项研究在线性暴力(数码性暴力)通过与受害经验的深层面试结果,通过在线语言成绩欺负和非同步的拍摄、传播等问题有什么危害的性质,成绩文化和对象化暴露出有什么相关的目标。面试结果显示,使用语言的欺凌问题在现行法律上被轻视,而且在网上已经成为普遍化的文化倾向。在《非同》的拍摄及散布犯罪中,即使不暴露在现行法律上审议性数据的判断范围内的身体,受害者也认为是性侵害。即使是没有裸露的照片,在传播过程中也会伴随着性贬低和侮辱。采访参与者对个人形象还原为性形象而被消费感到侮辱。女性的性对象化长期以来作为以男性为中心的网络文化的构成原理,越是以形象为中心的文化,就越会得到加强。在网络个人广播中,性玩笑和贬低成为幽默元素,非法拍摄物被消费为淫秽物,而不是犯罪,这可以说是因为认为女性的身体形象成为视觉上的看点是理所当然的文化。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