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The Effect of Smart phone Addiction of University Students on Suicidal Behavior : Mediating Effect of Self-identity","authors":"Y. Jang","doi":"10.17854/FFYC.2018.10.56.103","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 2개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최종 결과분석에는 255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정체감에 부적(negative)인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살행동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하고 매개변수인 자아정체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의 예방과 자아정체감 증진에 효과적인 청소년복지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PeriodicalId":111638,"journal":{"name":"Forum For Youth Culture","volume":"33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8-10-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Forum For Youth Cul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7854/FFYC.2018.10.56.10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이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자아정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5년 경기도와 충청남도 소재 2개 대학교 대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며, 최종 결과분석에는 255명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분석방법은 기술통계 분석(descriptive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폰 중독은 자아정체감에 부적(negative)인 통계적 유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스마트폰 중독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마트폰 중독 수준이 높아질수록 자살행동의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스마트폰 중독은 대학생의 자살행동에 정적(positive)으로 유의하고 매개변수인 자아정체감은 완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자살의 예방과 자아정체감 증진에 효과적인 청소년복지의 실천적·정책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