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eongjae Kim, Jonghyuk Choi, Mikyung Lyu, Jinhyeong Ahn, Sunbum Kim, S. Hwang
{"title":"The Comparison of MMPI Profile between In-Family and Out-Family Child Sexual Offenders with Pedophilia","authors":"Myeongjae Kim, Jonghyuk Choi, Mikyung Lyu, Jinhyeong Ahn, Sunbum Kim, S. Hwang","doi":"10.7580/KJLM.2016.40.4.125","DOIUrl":null,"url":null,"abstract":"아동 성폭력은 널리 알려진 사회적 이슈이며, 우리나라에서 도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지적장애 소녀 가족 내 성폭행 사건’을 비롯하여 소위 ‘조두순 사건’까지 가족 내 뿐 아니라 가족 외 아동 성폭력 사례가 증가되고 있다. 다른 국가들에서는 아동 성폭력범죄자의 교정과정에서 다 양한 정신의학적 평가 및 치료를 도입하였고, 우리나라에서 도 이에 대한 치료와 평가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 중 왜곡된 성적 인지 및 욕구 충족이 목적인 소아 성애증을 가진 아동 성폭력범죄자들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1,2]. 정신질환에 대한 진단에 주로 사용되는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에 따르면 소아성애증은 남성 인구에서 3%-5%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고 생각되고, 진단기준은 A, B, C를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3]. Korean J Leg Med 2016;40:125-132 https://doi.org/10.7580/kjlm.2016.40.4.125","PeriodicalId":401663,"journ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volume":"12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6-11-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The Korean journal of legal medicin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7580/KJLM.2016.40.4.12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아동 성폭력은 널리 알려진 사회적 이슈이며, 우리나라에서 도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던 ‘지적장애 소녀 가족 내 성폭행 사건’을 비롯하여 소위 ‘조두순 사건’까지 가족 내 뿐 아니라 가족 외 아동 성폭력 사례가 증가되고 있다. 다른 국가들에서는 아동 성폭력범죄자의 교정과정에서 다 양한 정신의학적 평가 및 치료를 도입하였고, 우리나라에서 도 이에 대한 치료와 평가에 대한 여러 가지 연구가 시행되고 있으나, 이 중 왜곡된 성적 인지 및 욕구 충족이 목적인 소아 성애증을 가진 아동 성폭력범죄자들에 대한 연구는 국내에서 미흡한 실정이다[1,2]. 정신질환에 대한 진단에 주로 사용되는 ‘정신질환의 진단 및 통계 편람, 제 5판’에 따르면 소아성애증은 남성 인구에서 3%-5% 정도의 유병률을 보인다고 생각되고, 진단기준은 A, B, C를 모두 충족하여야 한다[3]. Korean J Leg Med 2016;40:125-132 https://doi.org/10.7580/kjlm.2016.40.4.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