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te Feminism,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sogyny

Sagahng Jung, Jia Hong
{"title":"State Feminism, Ministry of Gender Equality and Family, Misogyny","authors":"Sagahng Jung, Jia Hong","doi":"10.38196/MGC.2019.03.34.1.209","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여성가족부가 청와대 국민청원 및 각종 남초 사이트에서 남녀갈등의 주범으로 공격받는 현상에 주목하며 기성 언론의 여가부 보도 분석을 통해 여가부를 향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찾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2016년 강남역 여성살인 사건부터 2018년 미투운동 기간 동안 성폭력 보도에서 드러나는 여가부의 미디어 재현양상을 파악하고자 보수성향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진보성향의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을 대상으로 총 124개의 기사를 모아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가족부 장관에 대한 언론의 평가 내용과 평가 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2001년 1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여가부(여성가족부) 장관의 인터뷰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폭력 사건 보도에서 여가부가 기사에서 인용되는 방식은 성폭력 문제 해결의 단독, 혹은 공동주체, 단순 언급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를 성폭력 문제 해결의 주체로 호명하는 기사들 가운데 특히 보수언론의 기사들이 이기적이거나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주체/무능력한 주체/ 존재감 없는 주체로 여가부를 부정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수와 진보 언론 모두 정치적 논쟁의 손쉬운 소재로 여가부나 여가부 장관을 소환하는 경향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여가부 장관의 인터뷰에서는 장관의 전문성에 앞서 육아/외모(여성성)/가족관계 속에 여성장관을 위치지우며 젠더화된 기준으로 여가부 장관을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성폭력과 관련한 기성 언론, 특히 보수언론의 여가부 보도가 여가부가 위치한 행정 조직 체계의 특성이나 국가 페미니즘의 한계 등, 활동을 제한하는 구조적 원인을 살피는 대신 결과로서의 부정적인 업무 평가에 집중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이러한 여가부의 젠더정치적 재현이 성차에 따른 젠더위계질서의 재생산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PeriodicalId":448338,"journal":{"name":"Media, Gender & Culture","volume":"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9-03-3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1","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Media, Gender & Culture","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38196/MGC.2019.03.34.1.209","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1

Abstract

이 연구는 여성가족부가 청와대 국민청원 및 각종 남초 사이트에서 남녀갈등의 주범으로 공격받는 현상에 주목하며 기성 언론의 여가부 보도 분석을 통해 여가부를 향한 부정적인 사회적 인식의 토대를 찾아보고자 시도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2016년 강남역 여성살인 사건부터 2018년 미투운동 기간 동안 성폭력 보도에서 드러나는 여가부의 미디어 재현양상을 파악하고자 보수성향의 조선일보와 동아일보, 진보성향의 경향신문과 한겨레신문을 대상으로 총 124개의 기사를 모아 분석하였다. 또한 여성가족부 장관에 대한 언론의 평가 내용과 평가 기준을 살펴보기 위해 2001년 1월 1일부터 2018년 5월 31일까지 여가부(여성가족부) 장관의 인터뷰 기사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성폭력 사건 보도에서 여가부가 기사에서 인용되는 방식은 성폭력 문제 해결의 단독, 혹은 공동주체, 단순 언급의 세 가지 유형으로 나타났다. 여가부를 성폭력 문제 해결의 주체로 호명하는 기사들 가운데 특히 보수언론의 기사들이 이기적이거나 사회적 갈등을 야기하는 주체/무능력한 주체/ 존재감 없는 주체로 여가부를 부정적으로 재현하는 경향이 있으며 보수와 진보 언론 모두 정치적 논쟁의 손쉬운 소재로 여가부나 여가부 장관을 소환하는 경향을 보임을 발견하였다. 여가부 장관의 인터뷰에서는 장관의 전문성에 앞서 육아/외모(여성성)/가족관계 속에 여성장관을 위치지우며 젠더화된 기준으로 여가부 장관을 평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연구는 성폭력과 관련한 기성 언론, 특히 보수언론의 여가부 보도가 여가부가 위치한 행정 조직 체계의 특성이나 국가 페미니즘의 한계 등, 활동을 제한하는 구조적 원인을 살피는 대신 결과로서의 부정적인 업무 평가에 집중하고 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이러한 여가부의 젠더정치적 재현이 성차에 따른 젠더위계질서의 재생산에 기여한다고 주장한다.
国家女权主义,性别平等和家庭部,厌女症
该研究关注女性家族部在青瓦台国民请愿及各种男草网站上作为男女矛盾的主犯受到攻击的现象,试图通过分析现有媒体的女家部报道,寻找对女家部的否定性社会认识的基础。比具体2016年江南女性杀人案开始到2018年美国图运动期间,性暴力在外露的业余再现部的媒体报导,掌握具有保守倾向的《朝鲜日报》和《东亚日报》,具有进步倾向的《京乡新闻》和《韩民族新闻》为对象,共124个收集分析了报道。另外,为了了解媒体对女性家庭部长官的评价内容和评价标准,分析了2001年1月1日至2018年5月31日对女性家庭部长官的采访报道。分析结果显示,在性暴力事件报道中,女家妇被引用的方式分为解决性暴力问题的单独、共同主体、单纯提及三种类型。业余部为解决性暴力问题的主体点名的司机中,特别是保守媒体的司机自私或导致社会矛盾的主体/没有能力的主体/业余部没有存在感的主体为负面的倾向,再现都保守和进步媒体政治争论的简单的材质,休闲和休闲部部长传唤发现了表现的倾向。在对女家部长的采访中发现,在部长的专业性之前,将女性部长放在育儿/外貌(女性性)/家庭关系中,以性别化的标准评价女家部长。这项研究与性暴力有关的现有媒体,特别是保守媒体的报道多部位于业余的行政组织体系的特性或国家女权主义的局限性等限制,活动的结构性原因,取而代之的是观察结果的负面作为业务评价指出,正在集中。他们还主张,女家妇对性别政治的再现将对性别差异带来的性别等级秩序的再生产做出贡献。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