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他们人生的转折与美国营地俱乐部老板和外围工人的传记——以越南战争中地区权力和军事劳工的特点为中心","authors":"Chung Ro Yoon","doi":"10.51855/koha.2023.14.2.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냉전과 한⋅미관계, 한국의 근대화 과정이 기지촌 주민의 삶에 미친 영 향, 그리고 그 역의 관계를 미시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기지촌 클럽주 와 주변부 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토대로 기지촌과 연관된 구체적인 삶의 맥락과 특 성을 생애사적 시간 속에서 살펴본다. 클럽주는 지역 권력망의 구성원이었던 반면 주 변부 노동자는 하층계급의 일원이었다. 이러한 계층적 차이로 인해 이 둘의 삶의 맥락 과 경험은 서로 동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한국 정부의 안보⋅성장 주의와 미 ‘제국’의 군사주의의 접합이라는 범위 내에 있었다. 클럽주의 삶이 ‘달러’와 연관된 기지촌 정치경제, 미군의 주둔지 정책의 미시적 특성을 보여준다면, 주변부 노 동자의 베트남전쟁 참전 경험은 한국의 기지촌 경험을 투영한 ‘군사노동’의 특성을 보 여준다. 클럽주와 주변부 노동자의 삶의 맥락, 생애사적 시간의 대비는 다양한 기지촌 주민의 삶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PeriodicalId":488501,"journal":{"name":"Gusulsa yeon-gu","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title\":\"The Turning Points in Their Life and the Biography of the Club Owner and the Peripheral Worker in the U.S. Camptown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ower and the Military Labor in the Vietnam War\",\"authors\":\"Chung Ro Yoon\",\"doi\":\"10.51855/koha.2023.14.2.3\",\"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냉전과 한⋅미관계, 한국의 근대화 과정이 기지촌 주민의 삶에 미친 영 향, 그리고 그 역의 관계를 미시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기지촌 클럽주 와 주변부 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토대로 기지촌과 연관된 구체적인 삶의 맥락과 특 성을 생애사적 시간 속에서 살펴본다. 클럽주는 지역 권력망의 구성원이었던 반면 주 변부 노동자는 하층계급의 일원이었다. 이러한 계층적 차이로 인해 이 둘의 삶의 맥락 과 경험은 서로 동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한국 정부의 안보⋅성장 주의와 미 ‘제국’의 군사주의의 접합이라는 범위 내에 있었다. 클럽주의 삶이 ‘달러’와 연관된 기지촌 정치경제, 미군의 주둔지 정책의 미시적 특성을 보여준다면, 주변부 노 동자의 베트남전쟁 참전 경험은 한국의 기지촌 경험을 투영한 ‘군사노동’의 특성을 보 여준다. 클럽주와 주변부 노동자의 삶의 맥락, 생애사적 시간의 대비는 다양한 기지촌 주민의 삶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PeriodicalId\":488501,\"journal\":{\"name\":\"Gusulsa yeon-gu\",\"volume\":\"2014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sulsa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855/koha.2023.14.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sulsa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855/koha.2023.14.2.3","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The Turning Points in Their Life and the Biography of the Club Owner and the Peripheral Worker in the U.S. Camptown : Focus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egional Power and the Military Labor in the Vietnam War
이 연구는 냉전과 한⋅미관계, 한국의 근대화 과정이 기지촌 주민의 삶에 미친 영 향, 그리고 그 역의 관계를 미시적으로 이해하려는 시도다. 이를 위해 기지촌 클럽주 와 주변부 노동자의 구술생애사를 토대로 기지촌과 연관된 구체적인 삶의 맥락과 특 성을 생애사적 시간 속에서 살펴본다. 클럽주는 지역 권력망의 구성원이었던 반면 주 변부 노동자는 하층계급의 일원이었다. 이러한 계층적 차이로 인해 이 둘의 삶의 맥락 과 경험은 서로 동떨어져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는 한국 정부의 안보⋅성장 주의와 미 ‘제국’의 군사주의의 접합이라는 범위 내에 있었다. 클럽주의 삶이 ‘달러’와 연관된 기지촌 정치경제, 미군의 주둔지 정책의 미시적 특성을 보여준다면, 주변부 노 동자의 베트남전쟁 참전 경험은 한국의 기지촌 경험을 투영한 ‘군사노동’의 특성을 보 여준다. 클럽주와 주변부 노동자의 삶의 맥락, 생애사적 시간의 대비는 다양한 기지촌 주민의 삶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한 실마리를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