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Play-based Curriculum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n Inclusion Educational Environment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title":"Qualitative Meta-analysis on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Play-based Curriculum by 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an Inclusion Educational Environment following the Application of 2019 Revised Nuri Curriculum","authors":"Jaesup Jin, Jongnam Baek","doi":"10.21214/kecse.2023.23.3.171","DOIUrl":null,"url":null,"abstract":"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개정 누리과정 적용으로 인한 유아특수교사들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질적연구물 7편을 대상으로 탐색을 실행하였으며, Nobit과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변화에 대한 도전, 어려움과 한계’, ‘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 교사로서 역할에 대한 행동의 변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 나타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성공적인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해 기관의 구성원 및 사회의 구성원들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위한 자료 제공 및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 실행 경험에 대한 데이터 축적 및 평가과정이 요구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놀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유아특수교사들에 대한 개별적인 질적 연구물들을 종합적인 시각으로 살펴보고,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PeriodicalId":497978,"journ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volume":"3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Yua teugsu gyoyug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21214/kecse.2023.23.3.171","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본 연구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서 개정 누리과정 적용으로 인한 유아특수교사들의 놀이중심 교육과정 실행에 대한 경험이 어떠한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질적 메타분석을 활용하였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이 시행된 2019년부터 2023년까지 발간된 질적연구물 7편을 대상으로 탐색을 실행하였으며, Nobit과 Hare(1988)가 제시한 질적 메타분석 7단계 방법을 활용하였다. 개정 누리과정을 실행하는 유아특수교사들은 ‘변화에 대한 도전, 어려움과 한계’, ‘놀이에 대한 인식 변화, 교사로서 역할에 대한 행동의 변화’, ‘장애유아 통합교육 현장에 나타날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기대’를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들은 성공적인 놀이중심 교육 실행을 위해 기관의 구성원 및 사회의 구성원들의 ‘공동의 노력’이 필요함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개정 누리과정의 실행을 위한 자료 제공 및 교사의 교육과정 재구성 역량 증진을 위한 구체적 지원, 실행 경험에 대한 데이터 축적 및 평가과정이 요구되며, 특수교육대상 유아의 놀이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유아특수교사들에 대한 개별적인 질적 연구물들을 종합적인 시각으로 살펴보고, 통합교육 환경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방향을 제안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