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Being Female Citizens through Community Services : The Activities and Identities of Chungbuk Council of Women’s Leaders","authors":"Jeong-Mi Park, Eun Seong Son, Woo Jung Jang","doi":"10.51855/koha.2023.14.2.2","DOIUrl":null,"url":null,"abstract":"이 연구는 충청북도여성단체협의회(이하 충북여협) 대표자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그들의 활동과 정체성, 그리고 그들의 활동이 지역과 한국 사회에 지닌 의미를 탐색한 다. 연구 결과, 구술자들은 고학력과 중산층 이상이라는 계층적 지위 덕분에 급여를 받지 않으면서도 여성단체 활동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었다. 충북여협과 소속 단체 들은 여성의 가족 내 지위, 곧 아내/어머니/주부의 역할을 확장함으로써 지역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들의 무급 봉사활동이 지역의 복지와 발전 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여성의 권리와 지위 향상에 기여했는지는 불분명 하다. 그러나 정치적 민주화와 지방자치제도의 부활, 여성가족부의 출범은 교육과 봉 사에 전념해왔던 충북여협의 활동을 지방정치 참여, 여성의 지위와 권리 향상으로 확 장하는 계기가 되었다.","PeriodicalId":488501,"journal":{"name":"Gusulsa yeon-gu","volume":"3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sulsa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855/koha.2023.14.2.2","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이 연구는 충청북도여성단체협의회(이하 충북여협) 대표자들의 구술생애사를 통해, 그들의 활동과 정체성, 그리고 그들의 활동이 지역과 한국 사회에 지닌 의미를 탐색한 다. 연구 결과, 구술자들은 고학력과 중산층 이상이라는 계층적 지위 덕분에 급여를 받지 않으면서도 여성단체 활동을 오랫동안 지속할 수 있었다. 충북여협과 소속 단체 들은 여성의 가족 내 지위, 곧 아내/어머니/주부의 역할을 확장함으로써 지역과 국가 발전에 이바지하는 것을 목표로 삼았다. 이들의 무급 봉사활동이 지역의 복지와 발전 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여성의 권리와 지위 향상에 기여했는지는 불분명 하다. 그러나 정치적 민주화와 지방자치제도의 부활, 여성가족부의 출범은 교육과 봉 사에 전념해왔던 충북여협의 활동을 지방정치 참여, 여성의 지위와 권리 향상으로 확 장하는 계기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