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New Phase of Korean Disabled Movement since the 2000s : Focusing on People with Cerebral Palsy

Keum Chul Ha
{"title":"The New Phase of Korean Disabled Movement since the 2000s : Focusing on People with Cerebral Palsy","authors":"Keum Chul Ha","doi":"10.51855/koha.2023.14.2.4","DOIUrl":null,"url":null,"abstract":"한국 장애인운동은 2001년 이동권 투쟁을 계기로 부흥의 시기를 맞이하였는데, 이를 주도한 주체는 뇌성마비 장애인 등 중증장애인이었다. 본고는 뇌성마비 장애인 의 생애사를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1980년대 장애인운동 초창기를 이끌었던 소아마비 장애인들이 상대적 고학력층에 속하고 학생운동권이 다수였던 것과는 달리, 2000년대 이동권 투쟁의 주체로 등장한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들은 유년기에 학교 교육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적 관계로부터 철저하게 배제되어 있었다. 그들은 20세를 전후한 시점에 복지관 서비스 이용 또는 시설 입소를 통해 처음으로 사회적 경험을 맺게 되었다. 이 공간에서 그들은 유년기에 형성되었던 자신의 부정적 장애 정체성과 직면했고, 장애에 대한 재활모델에 기초해 형성된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능동적 실천을 추구했다. 또한, 90년대 들어 새롭게 등장한 탈시설 담론과 장애인 자조 조직들과의 만남을 통해 재활 모델 바깥의 사회적 삶의 미래를 그려나갔다. 2000년대 장애인운동의 성장은 이러한 중증 장애인들의 생애사적 전환들이 만들어낸 결실이었다.","PeriodicalId":488501,"journal":{"name":"Gusulsa yeon-gu","volume":"48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23-09-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Gusulsa yeon-gu","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1855/koha.2023.14.2.4","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한국 장애인운동은 2001년 이동권 투쟁을 계기로 부흥의 시기를 맞이하였는데, 이를 주도한 주체는 뇌성마비 장애인 등 중증장애인이었다. 본고는 뇌성마비 장애인 의 생애사를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의 역사적 의미를 고찰하고자 한다. 1980년대 장애인운동 초창기를 이끌었던 소아마비 장애인들이 상대적 고학력층에 속하고 학생운동권이 다수였던 것과는 달리, 2000년대 이동권 투쟁의 주체로 등장한 중증 뇌성마비 장애인들은 유년기에 학교 교육을 비롯한 대부분의 사회적 관계로부터 철저하게 배제되어 있었다. 그들은 20세를 전후한 시점에 복지관 서비스 이용 또는 시설 입소를 통해 처음으로 사회적 경험을 맺게 되었다. 이 공간에서 그들은 유년기에 형성되었던 자신의 부정적 장애 정체성과 직면했고, 장애에 대한 재활모델에 기초해 형성된 사회적 관계망 속에서 살아남기 위한 능동적 실천을 추구했다. 또한, 90년대 들어 새롭게 등장한 탈시설 담론과 장애인 자조 조직들과의 만남을 통해 재활 모델 바깥의 사회적 삶의 미래를 그려나갔다. 2000년대 장애인운동의 성장은 이러한 중증 장애인들의 생애사적 전환들이 만들어낸 결실이었다.
〇2000年以后韩国残疾人运动的新阶段:以脑瘫患者为中心
韩国残疾人运动以2001年的移动权斗争为契机迎来了复兴时期,主导这一时期的主体是脑瘫残疾人等重症残疾人。本高中将以脑瘫残疾人的生平为基础,考察这种变化的历史意义。20世纪80年代引领残疾人运动早期的小儿麻痹症残疾人相对多数属于高学历,学生运动圈的不同,2000年代成为残疾人的斗争的主体重症脑瘫残疾人在幼年学校教育在内的大部分从社会关系彻底被排除了。他们在20岁左右时通过使用福利馆服务或设施入所,首次积累了社会经验。在这个空间里,他们面对着幼年时期形成的自身否定性残疾的认同感,为了在以对残疾的康复模式为基础形成的社会关系网中生存下来,追求能动性的实践。另外,通过90年代新登场的脱设施讨论和与残疾人自助组织的见面,描绘了康复模式之外的社会生活的未来。2000年代残疾人运动的成长是重症残疾人生平转变的结果。
本文章由计算机程序翻译,如有差异,请以英文原文为准。
求助全文
约1分钟内获得全文 求助全文
来源期刊
自引率
0.00%
发文量
0
×
引用
GB/T 7714-2015
复制
MLA
复制
APA
复制
导出至
BibTeX EndNote RefMan NoteFirst NoteExpress
×
提示
您的信息不完整,为了账户安全,请先补充。
现在去补充
×
提示
您因"违规操作"
具体请查看互助需知
我知道了
×
提示
确定
请完成安全验证×
copy
已复制链接
快去分享给好友吧!
我知道了
右上角分享
点击右上角分享
0
联系我们:info@booksci.cn Book学术提供免费学术资源搜索服务,方便国内外学者检索中英文文献。致力于提供最便捷和优质的服务体验。 Copyright © 2023 布克学术 All rights reserved.
京ICP备2023020795号-1
ghs 京公网安备 11010802042870号
Book学术文献互助
Book学术文献互助群
群 号:604180095
Book学术官方微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