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Landscape Elements and User Satisfaction in National Street: Focusing on Gwangwhamun Square","authors":"Hyun-Ah Choi, Young-Tae Cho, Woo-kyun Lee","doi":"10.5804/LHIJ.2014.5.4.215","DOIUrl":null,"url":null,"abstract":"국가상징거리는 도시 및 국가의 환경개선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상징거리는 한나라의 수도 및 도시의 중심부에 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복합적 역할을 하는 광장과 연결되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상징거리의 장...","PeriodicalId":365439,"journal":{"name":"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volume":"6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4-10-30","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0","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5804/LHIJ.2014.5.4.215","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0
Abstract
국가상징거리는 도시 및 국가의 환경개선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대표적인 공공 오픈 스페이스 중의 하나이다. 상징거리는 한나라의 수도 및 도시의 중심부에 있으며, 프랑스, 영국, 미국 등은 복합적 역할을 하는 광장과 연결되어 문화와 역사를 포함한 공간적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상징거리의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