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tle":"한국의 소비생활지표를 활용한 1인 가구의 소비생활 특성 분석","authors":"유현정, 이아름, 송유진, 안혜리","doi":"10.15723/JCPS.48.2.201708.277","DOIUrl":null,"url":null,"abstract":"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의 소비행동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1인 가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등에 따라 내부적 구성과 특성이 달라 보다 다차원적인 이해와 접근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원의 2015년 한국소비생활지표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1인 가구를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경제·소비생활, 소비문제, 소비생활만족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에서는 자신의 소비생활 수준이 하류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둘째,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는 항목에 대해서 청년층과 중년층은 주생활비, 노년층은 의료비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문제를 경험한 분야로는 청년층은 식생활분야, 중𐤟노년층은 이동통신분야에서 문제를 경험했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소비생활수준정도, 소비지출규모만족수준, 소비역량만족도가 높을수록 소비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년층과 노년층의 경우 지속가능소비 실천정도와 소비역량만족도가 높을수록 소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세대가 소비자역량 분야 중 소비자시민역량이 높을수록 소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eriodicalId":228567,"journal":{"name":"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volume":"37 1","pages":"0"},"PeriodicalIF":0.0000,"publicationDate":"2017-08-01","publicationTypes":"Journal Article","fieldsOfStudy":null,"isOpenAccess":false,"openAccessPdf":"","citationCount":"2","resultStr":null,"platform":"Semanticscholar","paperid":null,"PeriodicalName":"journal of consumer policy studies","FirstCategoryId":"1085","ListUrlMain":"https://doi.org/10.15723/JCPS.48.2.201708.277","RegionNum":0,"RegionCategory":null,"ArticlePicture":[],"TitleCN":null,"AbstractTextCN":null,"PMCID":null,"EPubDate":"","PubModel":"","JCR":"","JCRName":"","Score":null,"Total":0}
引用次数: 2
Abstract
1인 가구가 증가함에 따라 1인 가구의 소비행동에 대한 관심도 함께 증가하고 있지만, 1인 가구는 인구통계학적 변수 등에 따라 내부적 구성과 특성이 달라 보다 다차원적인 이해와 접근을 필요로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소비자원의 2015년 한국소비생활지표 데이터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여, 1인 가구를 청년층, 중년층, 노년층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경제·소비생활, 소비문제, 소비생활만족도 등을 비교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년층에서는 자신의 소비생활 수준이 하류층이라고 응답한 비율이 다른 세대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났고, 둘째, 경제적으로 부담을 느끼는 항목에 대해서 청년층과 중년층은 주생활비, 노년층은 의료비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비문제를 경험한 분야로는 청년층은 식생활분야, 중𐤟노년층은 이동통신분야에서 문제를 경험했다는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넷째, 청년층 1인 가구의 경우 소비생활수준정도, 소비지출규모만족수준, 소비역량만족도가 높을수록 소비생활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년층과 노년층의 경우 지속가능소비 실천정도와 소비역량만족도가 높을수록 소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모든 세대가 소비자역량 분야 중 소비자시민역량이 높을수록 소비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